Repository(2)
-
기존 로컬 Repository를 수정 후, 새로운 Git Repository에 push하기
상황 설명 A라는 프로젝트와 비슷한 구조의 B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생겼다. 보통은 A를 fork 하거나, mirror clone 하여 새로운 Repository를 만들어 github과 연동 시킬 것이다. 하지만 이번에는 너무 급해서 로컬에 있는 A Repository를 그대로 복사하여 내용을 수정하고 배포한 상황이다. 테스트 성격의 소스라 이렇게 대충 처리를 했는데, 요구사항이 계속 나오는걸 보니 아무래도 형상관리를 해야할 것 같다. 상황을 다시 정리하자면, 로컬의 A Repository(이하 Repo)를 복사하여 B Repo를 만들었고, B Repository는 A(Remote) Repo와 연결된 상황. B(Remote) Repo를 생성하고, B Repo와 연결하여 Push하고 싶다. A Repo ..
2022.07.20 -
기존 Git Repository를 복사하여 새로운 Repository 만들기
보통 Git Repository를 복사할 때 fork를 많이 사용한다. fork는 사실상 clone과 큰 차이가 없지만, github.com 내에서 바로 검색이 되진 않는다. fork의 원래 의도는 bugfix를 위해 기존 repository를 복사하여, 코드 수정을 한 뒤 pull request를 날리는 것이다. 목적을 달성한 뒤 fork 프로젝트는 큰 의미가 없으므로 삭제한다. 만약 기존 Git Repository 현재 버전을 복사하여 다른 프로젝트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git clone 의 mirror 옵션으로 모든 이력을 갖고 온 뒤, github상에 새로 만든 repository에 push 하는 것이 맞다. 먼저 아래처럼 복사할 repository를 --mirror 옵션으로 clone한다. -..
2021.10.26